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CUSTOMER CENTER
BANKINF INFO



 
분석 고대 한국사
이도학 지음 / 학연문화사
기본 정보
상품명 분석 고대 한국사
이도학 지음 / 학연문화사
소비자가 80,000원
판매가 72,000원
적립금 2,160원 (3%)
정기배송

배송주기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수량
증가 감소
상품 옵션
옵션선택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 분석 고대 한국사
이도학 지음 / 학연문화사
수량증가 수량감소 72000 (  2160)
Total 0 (0개)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BUY NOW
정기배송 신청하기
SOLD OUT
X 닫기

이벤트

▶ 분석 고대 한국사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머리말 4

제1장 한국 고대사 이해를 위한 기본 전제
제1절 한국사에 대한 기본 이해 33
1. 어디까지가 한국사인가?-한국사의 확대 과정 33
2. 밖에서 온 건국자들-外來 王 35
3. 冊封體制 문제 38
1) 조공과 책봉 38
2) 중국과 관련한 한국사 전개 41
4. 한국사에서의 통일국가 형성 문제 43
5. 漢字의 수용과 유교 이념에 의한 세뇌 45
6. 전통문화에 대한 관념과 의식 49

제2장 한국 고대사의 시대 구분과 특징
제1절 한국 고대사의 시대 구분 55
1. 한국사 최초의 시대 구분?신라사에 적용된 시대 구분 55
2. 어디까지가 고대의 하한인가?--中世의 기점 문제 57
1) 시대구분에 대한 시도 57
2) 한국 고대 사회의 특징 58
3) 고대의 붕괴는 언제부터인가? 60
제2절 고대의 시작과 한국 고대사회의 특징 63
1. 농경과 함께 한 고대의 시작 63
1) 농경의 시작과 권력의 태동 63
2) 국가의 기원 64
2. 우리나라 고대 사회의 특징과 시기 구분 68
1) 발전의 단계 68
2) 전쟁과 신분제 사회로의 길 71
3. 군사형 국가의 태동과 전개 과정 74
제3절 민족과 종족 개념 및 그 생성 과정 77
1. 역사의 주인인 인간과 민족, 그리고 문화 개념 77
2. 한국인의 형성 80
1) 한국인의 형성론 80
2) 한국인의 형질적 특징 83
3. 한국 고대사에서의 동이관 86

제3장 국가의 탄생과 발전 과정
제1절 국가의 발전 단계론 91
제2절 古朝鮮 94
1. 국호의 기원과 3 조선의 국호 94
2. 단군신화는 어떠한 내용인가? 97
1) 단군신화의 골격 97
2) 건국 연대 99
3) 桓의 실체 접근 100
3. 단군신화 검증 102
1) 단군신화 허구론 102
2) 단군신화의 수용론 103
3) 해방 후의 단군신화 연구 107
4) 단군이 한국사의 시조가 된 시기 108
5) 「魏書」의 편찬 시기 검토 113
6) 단군 기원의 사용 시점에 관한 검토 116
7) 왕검조선, 신화에서 역사로의 진입 과정 117
8) 단군 관련 재야문헌과 남 · 북한의 인식 119
3. 侯 · 王朝鮮 121
1) 箕子東來說에 대한 인식과 해석 121
2) 기자조선의 실재 검토 125
3) 고조선의 위치와 성격 129
4) 侯 · 王朝鮮의 國境 검토 138
5) 空地의 발생, 유이민의 안치 141
6) ‘기자조선’에 대한 후대 인식 142
4. 大王朝鮮 143
1) 위만의 정체성과 정권의 성격 143
2) 통치 구조 148
3) 성장 151
4) 漢의 대왕조선 침공 동기 152
5) 漢의 4개 郡 설치와 그 변천 157
5. 고조선 사회의 성격과 경제 및 음악 173
1) 殉葬 문제 173
2) 殉葬 관련 강상묘의 검증 174
3) 법 175
4) 경제 생활과 무역 176
5) 음악 178
제3절 夫餘 180
1. 부여는 어떤 나라인가? 180
1) 한국사에서 의미 180
2) 국호의 유래 181
3) 부여의 존재 182
4) 부여의 중심지 185
5) 건국 설화 187
6) 부여의 영역과 四出道 189
7) 왕권과 사회 구조 192
2. 殷富時代의 종언과 국가적 시련, 그리고 북부여와 동부여 197
1) 북부여 197
2) 동부여 198
3. 멸망 204
4. 풍속 205

제4장 부여계 국가의 등장
제1절 高句麗 209
1. 국호의 기원과 건국 문제 209
1) 국호의 유래 209
2) ‘고구려’ 국호의 사용 기간 211
3) 건국 213
4) 건국 연대 215
2. 고구려의 기원과 건국 217
1) 고구려의 기원과 추모 집단의 ‘고구려’ 국호의 계승 배경 217
2) 추모 집단의 출원지 220
3) 시조 출원지에 대한 인식의 변천 배경 228
3. 자연환경과 기질 231
1) 자연 환경 231
2) 사회의 성격과 기질 233
3) 法俗 235
4) 고구려 왕의 典範-초기 고구려 왕의 성격 236
4. 발전 과정 240
1) 왕실 교체 문제 240
2) 消奴部 高句麗國 241
3) 계루부 고구려의 개막과 연맹국가 241
(1) 정복전의 전개 241
(2) 沃沮와 東濊 243
(3) 말갈의 성격 245
4) 準集權國家 단계 246
(1) 집권국가를 위한 토대 246
(2) 국제정세의 변화와 대외전쟁 247
5) 집권국가 단계 제1기 250
(1) 律令體制로의 진입 250
(2) 대외 전쟁과 광개토왕의 시대 252
6) 別都인 國原城의 설치 267
7) 任那 경영 269
8) 집권국가 단계 제2기 271
(1) 평양성 遷都 271
(2) 천도 결과, 帝國의 건설 273
(3) 고구려의 해양 경영 276
9) 집권국가 단계 제3기, ‘연립정권설’ 검토 278
(1) 시기구분의 좌표로서 ‘귀족연립정권기’ 검증 279
(2) 대외정세와 한강유역 상실 과정 284
(3) 長安城 축조 302
(4) 장안성 천도와 왕권 307
10) 隋와의 전쟁 308
11) 막부 군사독재체제와 멸망 310
12) 회복운동과 유민의 향배 315
제2절 백제 317
1. 백제 성립의 기반, 三韓의 宗主 마한 317
1) 삼한의 태동과 마한의 辰王 317
2) 마한의 맹주 목지국 320
3) 마한의 사회와 풍속 322
(1) 농경과 토기 322
(2) 묘제 323
(3) 주거지 323
(4) 城 324
(5) 祭儀 324
(6) 유통수단, 철정 326
(7) 珍寶에 대한 인식, 구슬 326
2. 국호의 기원과 건국 주체 및 王城 328
1) 국호의 기원 328
2) 건국 주체와 始祖觀 330
3) 백제 族源에 대한 인식 336
4) 『삼국사기』 온조왕본기가 비류왕본기인 근거 337
5) 한반도에서의 첫 근거지가 인천인 증거 340
6) 왕성 352
(1) 위례성 이름의 유래 353
(2) 王城의 조건과 서울 지역 백제 왕성의 소재지 354
(3) 慰禮城과 漢城의 관계 357
(4) 江名과 都城名 360
(5) 도성의 구비 조건 361
(6) 한성 도읍기 왕성에 대한 몇 가지 문제점 362
3. 풍토와 문화 그리고 천하관 365
1) 백제인들의 활동 반경 365
(1) 백제인들의 발길은 어디까지 미쳤는가? 365
2) 백제의 천하관 369
4. 백제사의 전개 376
1) 시대 구분 376
2) 한성 도읍기 377
(1) 마한 일원으로서의 백제와 시조왕상 377
(2) 3세기 중엽 연맹국가의 결성 378
(3) 왕실 교체와 아시아 역사로서 대두한 백제 380
(4) 국가체제의 통일성 확립 405
(5) 요서경략 기사 411
(6) 한성 후기와 개로왕대, 도림 기사의 재검토 415
3) 웅진성 도읍기 420
(1) 2세대 63년 간 420
(2) 馬韓 殘餘故地 前方後圓墳의 성격 423
(3) 웅진의 토착 세력 문제 -- 수촌리 세력의 ?氏說 검토 425
(4) 무녕왕의 계보 426
(5) 사비성 천도의 기획 시점과 중심 가문 430
4) 사비성 도읍기 432
(1) 주어진 시간 123년과 6대 왕 432
(2) 성왕 434
(3) 불법과 왕법을 일치시킨 위덕왕 437
(4) 짧은 재위, 그러나 막후에서 헌신했던 제28대 혜왕 443
(5) 부처의 現身 제29대 법왕 445
(6) 웅위했던 무왕 448
(7) 의자왕 대에 대한 재해석 454
6) 국가 회복운동기 462
(1) ‘부흥운동’ 개념의 검토 462
(2) 주류성과 백강 전투 467
(3) 熊津都督府의 귀속 문제 471
7) 唐에서 재건된 백제 472
8) 백제의 해양활동사 477
(1) ‘해양강국’ 평가 477
(2) 백제 왕성의 공통된 입지 조건 478
(3) 백제의 해상활동 영역 479

제5장 弁韓과 辰韓에서 성립한 국가
제1절 加羅와 任那 諸國 497
1. 국호의 유래와 ‘加羅’의 성립 497
2. 加羅 연맹의 결성 503
3. 伴跛國과 加羅의 동일 문제 508
1) 伴跛國과 加羅의 동일 근거 검증 508
2) 伴跛國과 加羅가 동일하지 않은 근거 513
3) 伴跛國=加羅說의 핵심 근거 검증 515
4) 국호 폄칭 문제 516
4. 任那加羅聯盟 522
5. 任那聯盟의 성립 531
6. 加羅의 범위와 해체 · 멸망 과정 534
1) 加羅의 국호 범위 534
2) 加羅의 해체 과정 534
7. 加羅의 사서 538
8. 임나일본부설의 배경으로서의 운봉고원 540
9. 가라와 倭의 연결 고리?, 기마민족 정복왕조설 542
제2절 新羅 546
1. 국호의 유래와 건국 문제 546
1) 신라사의 시대 구분 546
2) 국호의 유래 546
3) 건국 연대 548
4) 신라의 기원과 정복국가론 548
5) 신라의 힘의 원천 556
6) 신라와 철 560
(1) 『삼국지』 기사의 분석 560
(2) 일본이 설정한 고대 한일관계상의 붕괴 562
2. 전개 과정 563
1) 國~연맹국가 단계(기원전 57~356: 혁거세 거서간~흘해 니사금) 563
2) 맹주국가~왕조국가 단계(356~458: 나물 마립간~눌지 마립간) 564
3) 준집권국가 단계(458~514: 자비 마립간~지증 마립간) 567
4) 집권국가 단계(514~654: 법흥왕~진덕여왕) 569
(1) 불교 이념과 신분제의 결합 569
(2) 진흥왕대의 순수 571
(3) 『국사』의 편찬 577
(4) 화랑도 581
(5) 영토 확장 587

제6장 대외관계, 전쟁과 영토 문제
제1절 교통로의 개척 593
제2절 삼국의 전쟁과 영토 595
1. 고구려 595
1) 요동 지배권과 故國原王像 595
2) 「광개토왕릉비문」의 전쟁 기사 596
3) 고구려의 동해안 장악 599
4) 고구려의 탐라 장악 600
2. 백제 602
1) 근초고왕대 南征 범위 602
2) 전방후원분 피장자 접근 602
3) 요서경략 분석 604
4) 한강유역 지배권 문제 606
5) 남원소경 설치 배경으로서의 운봉고원 607
6) 중국 속의 백제 608
7) 한국 역사상 대항해의 시대-동남아시아 제국과의 교류 609
3. 신라 614
1) 북진경략 과정 614
2) 통일신라의 北界 劃定 문제 614

제7장 동아시아의 정세와 삼국의 통일
제1절 삼국과 倭, 고구려와의 관계 621
1. 4~5세기대 고구려와 倭, 대립 · 갈등기 621
2. 고구려와 왜의 관계 호전 631
3. 불교 문화의 세례를 통한 고구려와 倭 633
제2절 7세기대 동아시아 정세 634
1. 고구려 635
1) 천리장성을 인정하지 않은 연개소문 635
2) 연개소문의 신라 포위 전략 636
2. 백제 638
1) 신라 고립전략 추진 638
2) 정변으로써 강력한 왕권 구축 639
3. 신라 642
1) 국가적 위기 642
2) 신라 최대의 내전 644
3) 당과 연계한 통일 구상 645
4. 당 647
1) 당의 고구려 침공 명분 647
2) 당 태종의 고구려 침공 648
5. 왜 650
1) 정변 650
2) 大化改新 650
제3절 7세기대 동아시아 질서의 재편 652
1. 유민들의 동향 655
1) 고구려 유민 655
(1) 당에서의 고구려인 655
(2) 일본 속의 고구려인 657
(3) 신라에 온 고구려인 658
2) 백제 유민 660
(1) 만들어진 祭儀, 은산별신제 660
(2) 신라에 남은 백제인들, 碑像에 전하는 백제 유민 661
(3) 일본열도에서의 백제 유민 662
(4) 중국에 남은 백제인 663
2. 삼국통일이 지닌 의미 666
1) 삼국통일 요인 666
2) 통일의 결과, 얻은 것 667

제8장 통치와 문화
제1절 삼국의 史書 편찬 671
1. 기록이 없는 이유 671
2. 삼국의 역사 편찬 673
제2절 삼국시대의 經에 의한 통치 677
1. 통치 수단으로서의 經 677
2. 통치 근거로서의 經 679
1) 經과 교육 그리고 통치 679
2) 「광개토왕릉비문」에 보이는 통치 이념 680
3) 儒經의 힘 682
4) 불교와 도교의 經典과 지배 이념 685
제3절 도성 체제 691
1. 王都와 都城制 691
1) 고조선과 부여 691
2) 고구려 691
3) 백제 695
(1) 漢城의 비정 695
(2) 웅진성에 대한 몇 가지 문제 697
(3) 사비도성의 몇 가지 문제 697
(4) 익산 왕궁평성 700
(5) 도성과 사찰 707
4) 新羅 · 任那 709
2. 삼국의 國都 · 別都 · 州治였던 북한산성 711
1) ‘지금 楊州이다’고 한 ‘평양’ 위치 711
2) 백제 국도 북한산성 714
3) 고구려 별도 남평양성 717
4) 한강유역 봉수 체계의 출발점 달을성 718
3. 왕릉 720
1) 부여 720
2) 고구려 720
(1) 추모왕릉과 미천왕릉의 이장 문제 721
(2) ‘國川’에 대한 새로운 비정 722
(3) ‘황제묘’와 ‘황제비’의 비밀 722
(4) 태왕릉=광개토왕릉설의 검증 724
(5) 장군총=광개토왕릉설 726
(6) 광개토왕릉비 立地의 비밀 727
(7) 안악3호분의 피장자 문제 729
3) 백제 730
(1) 한성 도읍기 730
(2) 웅진성 도읍기 738
(3) 사비성 도읍기 741
4) 신라와 임나 742
제4절 과학의 운용과 발달 744
1. 천문학 745
2. 醫學 748
3. 항해술?6~7세기는 대항해의 시대 750
1) 백제 750
2) 신라 752
4. 기술직 758
제5절 문화와 사회 760
1. 언어와 문자 760
2. 법과 정치 제도 763
1) 법속과 신분제 763
2) 중앙과 지방 통치체계 766
3) 수취와 경제 768
4) 청소년 조직 769
3. 두발 형태와 관모 그리고 의복 774
1) 두발 형태 774
2) 관모 776
3) 의복 777
4) 직물 779
4. 武器와 武具 783
5. 혼인과 상례 784
1) 혼인 784
2) 상례 789
(1) 장례 789
(2) 묘제와 매장 방식 790
(3) 순장 792
6. 제의와 종교 795
1) 제의 795
2) 犧牲 800
3) 불교 - 동아시아의 불교 수용 배경과 그 과정 801
7. 서약 관념 811
8. 사회와 술 815

제9장 통일신라와 발해
제1절 통일신라 819
1. 집권국가 확장기(654~809: 태종 무열왕~애장왕) 819
1) 시대구분으로서의 ‘中代’ 819
2) 金欽突 난에 대한 해석 820
2. 왕족 분열기(809~887: 애장왕~정강왕) 829
3. 국토의 대분열기(887~935: 진성여왕~경순왕) 831
1) 소멸되는 국가 831
2) 사상 834
제2절 渤 海 837
1. 국호의 유래 837
2. 발해사 인식과 발해사 자료 840
3. 건국과 건국자의 계통, 그리고 ‘舊國’ 842
4. 국가와 문화의 성격 849
1) 국가 성격 849
2) 문화 성격 850
5. 발해의 중앙조직과 영역 852
1) 자연환경과 중앙 및 지방 852
2) 당과의 충돌과 팽창 853
6. ‘남북국시대론’ 856
7. 발해의 대외관계.신라와의 관계 860
8. 발해의 멸망 863

제10장 후삼국시대
제1절 城主와 將軍의 시대 869
1. 농민 봉기와 국가 해체 869
2. 사서 속의 인물 평가와 인식 874
1) 臺本 같은 등장 인물 874
2) 기록에서 지워진 왕건과 비등했던 장군들 875
제2절 궁예와 진훤의 출신과 세력 형성 과정 878
1. 출신과 출생 878
1) 궁예 878
2) 진훤 879
(1) ‘견훤’이 아닌 ‘진훤’ 879
(2) 진훤의 출신지와 출향 880
2. 세력 규합 방식 884
1) 궁예 884
2) 진훤 886
3. 국가의 부활과 창건 889
1) 삼국시대의 복원 889
2) 국가의 창건과 연호 반포 890
3) 수도의 선정 893
4) 정복전의 전개 896
4. 궁예 몰락의 배경 897
제3절 삼국의 정립 901
1. 후삼국의 共存·鼎立期(918년~925년)/ 통일전쟁기(925년~936년) 901
2. 정치 · 경제 · 외교적 조치 903
1) 정치 · 경제 903
2) 백성에 대한 수취 903
3) 오월국과의 외교와 교역 907
4) 오월국 불교 909
3. 후백제와 고려의 불교 시책 912
4. 왕건 중심 기록에 대한 성찰 916
5. 통일국가를 만들기 위한 쟁패 918
6. 후백제군의 기습 공격 919
7. 신검 정변의 발생 921
8. 통합 과정 923

제11장 中世로의 전환
제1절 태조의 후삼국 통일과 융합 정책 929
제2절 광종의 정치개혁 931
제3절 中世로의 이행, 科擧制의 실시 932

제12장 東北工程論
제1절 동북공정과 그 대응 방안 모색 937
1. 머리말 937
2. 중국의 역사 인식 938
1) 동북공정의 궁극적 목표 938
2) 중국의 소위 邊疆 역사에 대한 인식 939
제2절 한반도 바깥의 영토 941
1. 고조선 941
2. 고구려 942
3. 백제 943
제3절 역동북공정론 - 여진사의 귀속 문제 945
제4절 바른 역사 인식을 위한 제언 947

참고문헌
1. 기본 사료 / 자료 951
2. 저서 952

참고문헌 965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DELIVERY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4,000원
  • 배송 기간 : 3일 ~ 7일
  • 배송 안내 : -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EXCHANGE INFO

교환 및 반품 주소
 - [13807] 경기 과천시 관문로 92 힐스테이트 과천중앙 101동 1818호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부터 7일. 단, 그 서면을 받은 때보다 재화등의 공급이 늦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재화등을 공급받거나 재화등의 공급이 시작된 날부터 7일 이내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계약내용과 다르게 이행된 때에는 당해 재화 등을 공급받은 날 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부터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이용자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재화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다만, 재화 등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에는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이용자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재화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재화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재화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개별 주문 생산되는 재화 등 청약철회시 판매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되어 소비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이 개시된 경우, (다만, 가분적 용역 또는 가분적 디지털콘텐츠로 구성된 계약의 경우 제공이 개시되지 아니한 부분은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SERVICE INFO

게시물이 없습니다

글쓰기 목록

게시물이 없습니다

글쓰기 목록